1983년 월드 시리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3년 월드 시리즈는 아메리카 리그의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내셔널 리그의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4승 1패로 꺾고 우승한 대회이다. 1차전은 필라델피아가 승리했지만, 이후 볼티모어가 2, 3, 4, 5차전을 연달아 승리하며 시리즈를 마무리했다. 볼티모어는 강력한 타선과 젊은 투수진의 조화를 통해 우승을 차지했으며, 릭 뎀프시가 MVP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야구 - 1983년 일본 시리즈
세이부 라이온즈가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꺾고 2년 연속이자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한 1983년 일본 시리즈는 총 7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세이부가 승리했으며 오타 다쿠지가 MVP를 수상했고 3경기의 시청률이 40%를 넘을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았다. - 1983년 야구 - 1983년 한국시리즈
1983년 한국시리즈는 전기 리그 1위 해태 타이거즈와 후기 리그 1위 MBC 청룡의 대결에서 해태가 4승 1무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으며 김봉연이 MVP를 수상했고 KBS와 MBC에서 중계되었다. - 1983년 10월 - 그레나다 침공
1983년 미국이 주도한 다국적군의 그레나다 침공은 모리스 비숍 총리 암살 후 정치적 혼란, 쿠바 영향력에 대한 미국의 우려에서 비롯되었으며, 미국은 자국민 보호, 지역 안정, 공산주의 확산 방지를 명분으로 내세웠으나 국제법 위반 및 정치적 의도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 1983년 10월 - 아웅산 묘역 테러 사건
아웅산 묘역 테러 사건은 1983년 10월 9일 미얀마 양곤의 아웅산 묘역에서 북한 공작원이 대한민국 고위 관료들을 노리고 폭탄을 터뜨려 17명의 한국 정부 관계자와 4명의 미얀마인이 사망한 사건이다. - 볼티모어 오리올스 - 오리올 파크 앳 캠던 야즈
오리올 파크 앳 캠던 야즈는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위치한 메이저 리그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홈구장으로, 레트로 회귀 콘셉트와 B&O 창고를 통합한 독특한 설계로 신고전주의 구장 건설 붐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볼티모어 오리올스 - 로이드 스트리트 그라운즈
1895년 개장한 로이드 스트리트 그라운즈는 밀워키 브루어스의 홈구장으로 웨스턴 리그와 아메리칸 리그, 밀워키 크림스가 사용했으며 1904년 철거 후 현재는 주거 지역이다.
1983년 월드 시리즈 | |
---|---|
대회 개요 | |
정식 명칭 | 제80회 월드 시리즈 (영어: 80th World Series) |
참가 국가 | 월드 |
연도 | 1983년 |
우승 팀 | 볼티모어 오리올스 |
우승 팀 리그 | 아메리칸 리그 |
우승 횟수 | 4회 |
우승 팀 약칭 | BAL |
우승 팀 최근 우승 | 4년 만에 7번째 |
우승 팀 단장 | 행크 피터스 |
우승 팀 감독 | 조 알토벨리 |
우승 팀 시즌 성적 | 98승 64패, 승률 .605, AL 동부 지구 우승 |
우승 팀 선수단 몫 | 선수 1인당 6만5487.70달러 |
준우승 팀 | 필라델피아 필리스 |
준우승 팀 리그 | 내셔널 리그 |
준우승 횟수 | 1회 |
준우승 팀 약칭 | PHI |
준우승 팀 최근 우승 | 3년 만에 4번째 |
준우승 팀 단장 | 폴 오웬스 |
준우승 팀 감독 | 폴 오웬스 (겸임) |
준우승 팀 시즌 성적 | 90승 72패, 승률 .556, NL 동부 지구 우승 |
준우승 팀 선수단 몫 | 선수 1인당 4만4473.32달러 |
날짜 | 10월 11일 ~ 10월 16일 |
경기 장소 | 메모리얼 스타디움 (볼티모어), 베테랑스 스타디움 (필라델피아) |
MVP | 릭 뎀프시 (볼티모어) |
총 관중 | 5경기 합계: 30만4139명, 경기당 평균: 6만828명 |
방송 정보 | |
미국 텔레비전 방송사 | ABC |
미국 중계 캐스터 | 알 마이클스 |
미국 해설 | 하워드 코셀, 얼 위버 |
미국 텔레비전 시청률 | 23.3% (전년 대비 4.6% 하락) |
미국 라디오 방송사 | CBS 라디오 |
미국 라디오 캐스터 | 잭 벅, 스파키 앤더슨 |
경기 결과 | |
ALCS | BAL 3–1 CWS |
NLCS | PHI 3–1 LAD |
관련 인물 | |
명예의 전당 헌액 선수 (볼티모어) | 에디 머레이, 짐 파머, 칼 립켄 주니어 |
명예의 전당 헌액 선수 (필라델피아) | 스티브 칼턴, 조 모건, 토니 페레스, 마이크 슈미트 |
기타 | |
심판 | 마티 스프링스테드 (AL), 에드 바르고 (NL), 알 클라크 (AL), 프랭크 풀리 (NL), 스티브 팔레르모 (AL), 더치 레너트 (NL) |
로고 | |
![]() |
2. 시리즈 결과
1983년 월드 시리즈는 10월 11일부터 10월 16일까지 6일 동안 5경기가 치러졌다.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맞붙었으며,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4승 1패로 우승했다. 이는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1970년 이후 13년 만의 세 번째 우승이었다.
날짜 | 경기 | 원정 구단(선공) | 스코어 | 홈 구단(후공) | 개최 구장 |
---|---|---|---|---|---|
10월 11일(화) | 1차전 | 필라델피아 필리스 | 2–1 | 볼티모어 오리올스 | 메모리얼 스타디움 |
10월 12일(수) | 2차전 | 필라델피아 필리스 | 1–4 | 볼티모어 오리올스 | 메모리얼 스타디움 |
10월 13일(목) | 이동일 | ||||
10월 14일(금) | 3차전 | 볼티모어 오리올스 | 3–2 | 필라델피아 필리스 | 베테랑스 스타디움 |
10월 15일(토) | 4차전 | 볼티모어 오리올스 | 5–4 | 필라델피아 필리스 | 베테랑스 스타디움 |
10월 16일(일) | 5차전 | 볼티모어 오리올스 | 5–0 | 필라델피아 필리스 | 베테랑스 스타디움 |
볼티모어 오리올스 4승 1패로 우승 |
2. 1. 1차전
1983년 10월 11일,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열린 1차전에서 필라델피아 필리스가 볼티모어 오리올스를 2-1로 이겼다.[12] 존 데니가 승리 투수가 되었고, 스콧 맥그리어가 패전 투수가 되었으며, 알 홀랜드는 세이브를 기록했다.[12]6회 초, 조 모건이 스캇 맥그리어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쳐서 1-1 동점을 만들었다.[12] 8회 초에는 게리 매독스가 또 다른 솔로 홈런을 쳐서 필라델피아가 2-1로 앞서나갔다.[12] 볼티모어는 1회 말 짐 드와이어의 솔로 홈런으로 득점했다.
이 경기는 52,204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2시간 22분 만에 끝났다.[12]
2. 2. 2차전
1983년 10월 12일,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4-1로 꺾었다. 볼티모어는 5회말 존 로웬스타인의 솔로 홈런과 7회말 칼 립켄 주니어의 적시타로 득점했다. 마이크 보디커는 9이닝 3안타 1실점으로 완투승을 거두며, 오리올스에 승리를 안겼다.[13] 경기는 2시간 27분 만에 종료되었으며, 52,132명의 관중이 입장했다.2. 3. 3차전
1983년 10월 14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베테랑스 스타디움에서 1983년 월드 시리즈 3차전이 열렸다.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3-2로 이겼다.[14] 짐 파머가 승리 투수, 스티브 칼튼이 패전 투수, 티피 마르티네즈가 세이브 투수가 되었다. 볼티모어의 댄 포드는 6회에 1점 홈런을 쳤고, 필라델피아의 게리 매튜스는 2회, 조 모건은 3회에 각각 1점 홈런을 기록했다.[14]이 경기는 2시간 35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65,792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야간 경기였다.[14]
볼티모어 오리올스 | 필라델피아 필리스 |
---|---|
J・셸비 (중견수) | J・모건 (2루수) |
D・포드 (우익수) | S・레스카노 (우익수) |
C・립켄Jr. (유격수) | M・슈미트 (3루수) |
E・머레이 (1루수) | G・매튜스 (좌익수) |
G・레니키 (좌익수) | T・페레즈 (1루수) |
R・다우어 (2루수) | G・매덕스 (중견수) |
T・크루즈 (3루수) | B・디아스 (포수) |
R・뎀프시 (포수) | I・데 헤수스 (유격수) |
M・플래너건 (투수) | S・칼튼 (투수) |
2. 4. 4차전
1983년 10월 15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베테랑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1983년 월드 시리즈 4차전에서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5-4로 꺾었다. 이로써 볼티모어는 시리즈 전적 3-1로 앞서나갔다.[1] 스톰 데이비스가 승리 투수가 되었고, 존 데니는 패전 투수가 되었으며, 티피 마르티네즈는 세이브를 기록했다.[1]
볼티모어는 1961년 뉴욕 양키스가 크로슬리 필드에서 신시내티 레즈를 상대로 승리한 이후 원정 팀이 3, 4, 5차전을 모두 승리한 최초의 팀이 되었다.
2. 5. 5차전
1983년 10월 16일,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베테랑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5차전에서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5-0으로 꺾고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1]볼티모어는 2회초 에디 머레이의 솔로 홈런으로 선취점을 올렸고,[1] 3회초에는 릭 뎀프시의 솔로 홈런으로 2-0으로 앞서나갔다.[1] 4회초에는 에디 머레이가 2점 홈런을 추가하며 점수 차를 벌렸다.[1] 5회초에도 1점을 추가하며 5-0으로 달아났다.[1]
볼티모어 선발 스캇 맥그리어는 9이닝 동안 5안타 무실점으로 필리스 타선을 완벽하게 막아내며 완봉승을 거두었다.[1] 필라델피아 선발 찰스 허드슨은 패전 투수가 되었다.[1]
이로써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1983년 월드 시리즈에서 4승 1패로 우승을 차지하며, 1970년 이후 13년 만에 통산 세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1]
3. 경기 상세
1983년 월드 시리즈의 각 경기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 1차전 ===
1983년 10월 11일,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열린 1차전에서 필라델피아 필리스는 존 데니를,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스콧 맥그리어를 선발 투수로 내세웠다.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필라델피아 필리스 | 0 | 0 | 0 | 0 | 0 | 1 | 0 | 1 | 0 | 2 | 5 | 0 |
볼티모어 오리올스 | 1 | 0 | 0 | 0 | 0 | 0 | 0 | 0 | 0 | 1 | 5 | 1 |
필리스는 6회초 조 모건의 솔로 홈런으로 동점을 만들었고, 8회초 게리 매독스의 솔로 홈런으로 역전에 성공했다. 9회말 알 홀랜드가 세이브를 올리며 필리스가 2-1로 승리했다. 오리올스는 1회말 짐 드와이어의 솔로 홈런으로 선취점을 얻었지만, 이후 추가 득점에 실패하며 1-2로 패했다.
필라델피아 필리스 선수단의 평균 연령은 32세였다. 당시 필리스는 1950년 평균 연령 26세로 "명석한 아이들(Whiz Kids)"이라는 별명을 얻었던 1950년 필리스 팀과 대조적으로 "숨 가쁜 아이들(Wheeze Kids)"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
경기 전 존 덴버가 미국 국가인 '성조기'를 불렀다.
필라델피아 필리스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조 모건 (2루수) | 알 뱀브리 (중견수) |
피트 로즈 (1루수) | 짐 드와이어 (우익수) |
마이크 슈미트 (3루수) | 칼 립켄 주니어 (유격수) |
식스토 레스카노 (우익수) | 에디 머레이 (1루수) |
개리 매튜스 시니어 (좌익수) | 존 로웬스타인 (좌익수) |
개리 매독스 (중견수) | 리치 다우어 (2루수) |
보 디아스 (포수) | 토드 크루즈 (3루수) |
이반 데 헤수스 (유격수) | 릭 뎀프시 (포수) |
존 데니 (투수) | 스콧 맥그리거 (투수) |
=== 2차전 ===
1983년 10월 12일,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2차전이 열렸다.[3]
필라델피아 필리스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J. 모건 (2루수) | A. 뱀브리 (중견수) |
P. 로즈 (1루수) | D. 포드 (우익수) |
M. 슈미트 (3루수) | C. 립켄 Jr. (유격수) |
J. 라피버 (우익수) | E. 머레이 (1루수) |
G. 매튜스 (좌익수) | J. 로웬스타인 (좌익수) |
G. 그로스 (중견수) | R. 다우어 (2루수) |
B. 디아스 (포수) | T. 크루즈 (3루수) |
I. 데 헤수스 (유격수) | R. 뎀프시 (포수) |
C. 허드슨 (투수) | M. 보디커 (투수) |
2차전에서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4-1로 꺾었다. 5회말 볼티모어의 존 로웬스타인이 동점 솔로 홈런을 쳤고,[3] 7회말에는 칼 립켄 주니어의 적시타로 볼티모어가 3점 차 리드를 가져갔다.[3] 9회초, 마이크 보디커가 마이크 슈미트를 헛스윙 삼진으로 잡아 경기를 종료시키며, 시리즈는 1승 1패 동률이 되었다.[3]
=== 3차전 ===
3차전 선발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볼티모어 오리올스 선발 라인업'''
'''필라델피아 필리스 선발 라인업'''
=== 4차전 ===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볼티모어 | 0 | 0 | 0 | 2 | 0 | 2 | 1 | 0 | 0 | 5 | 10 | 1 |
필라델피아 | 0 | 0 | 0 | 1 | 2 | 0 | 0 | 0 | 1 | 4 | 10 | 0 |
- 승리 투수: 스톰 데이비스 (1승)
- 패전 투수: 존 데니 (1승 1패)
- 세이브: 티피 마르티네즈 (2세이브)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선발 스톰 데이비스의 호투와 4회와 6회에 각각 2점씩, 7회에 1점을 뽑아내는 집중력을 보이며 필라델피아 필리스에 5-4로 승리했다. 필라델피아는 4회말 1점, 5회말 2점, 9회말 1점을 득점하며 추격했지만,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
=== 5차전 ===
1983년 10월 16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베테랑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5차전은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5-0으로 꺾고 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경기이다.
경기 결과
팀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최종 득점 | 안타 | 에러 |
---|---|---|---|---|---|---|---|---|---|---|---|---|
볼티모어 | 0 | 1 | 1 | 2 | 1 | 0 | 0 | 0 | 0 | 5 | 5 | 0 |
필라델피아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5 | 1 |
- 승리 투수: 스캇 맥그레거 (1승 1패)
- 패전 투수: 찰스 허드슨 (2패)
- 홈런:
- 볼티모어: 에디 머레이 (2회 1점, 4회 2점), 릭 뎀프세이 (3회 1점)
선발 라인업
볼티모어 오리올스 | 필라델피아 필리스 | ||
---|---|---|---|
포지션 | 선수명 | 포지션 | 선수명 |
중견수 | A. 뱀브리 | 2루수 | J. 모건 |
우익수 | D. 포드 | 우익수 | P. 로즈 |
유격수 | C. 립켄 Jr. | 3루수 | M. 슈미트 |
1루수 | E. 머레이 | 좌익수 | G. 매튜스 |
좌익수 | J. 로웬스타인 | 1루수 | T. 페레즈 |
2루수 | R. 다우어 | 중견수 | G. 매독스 |
3루수 | T. 크루즈 | 포수 | B. 디아스 |
포수 | R. 뎀프시 | 유격수 | I. 데헤수스 |
투수 | S. 맥그레거 | 투수 | C. 허드슨 |
경기 내용볼티모어의 선발 투수 스코트 맥그레거는 9이닝 동안 필라델피아 타선을 5안타 무실점으로 완벽하게 막아내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볼티모어는 2회초 에디 머레이의 솔로 홈런으로 선취점을 올렸고, 3회초 릭 뎀프세이의 솔로 홈런으로 추가점을 얻었다. 4회초에는 에디 머레이가 2점 홈런을 터뜨리며 점수 차를 벌렸고, 5회초 1점을 추가하며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필라델피아 필리스는 찰스 허드슨이 선발 등판하였으나 에디 머레이에게만 2개의 홈런을 허용하는 등 5실점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필라델피아 타선은 스코트 맥그레거에게 꽁꽁 묶이며 이렇다 할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이 경기는 낮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2시간 21분 만에 종료되었다. 관중은 6만 7064명이 입장하였다.
3. 1. 1차전 상세
1983년 10월 11일,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열린 1차전에서 필라델피아 필리스는 존 데니를,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스콧 맥그리어를 선발 투수로 내세웠다.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필라델피아 필리스 | 0 | 0 | 0 | 0 | 0 | 1 | 0 | 1 | 0 | 2 | 5 | 0 |
볼티모어 오리올스 | 1 | 0 | 0 | 0 | 0 | 0 | 0 | 0 | 0 | 1 | 5 | 1 |
필리스는 6회초 조 모건의 솔로 홈런으로 동점을 만들었고, 8회초 게리 매독스의 솔로 홈런으로 역전에 성공했다. 9회말 알 홀랜드가 세이브를 올리며 필리스가 2-1로 승리했다. 오리올스는 1회말 짐 드와이어의 솔로 홈런으로 선취점을 얻었지만, 이후 추가 득점에 실패하며 1-2로 패했다.
필라델피아 필리스 선수단의 평균 연령은 32세였다. 당시 필리스는 1950년 평균 연령 26세로 "명석한 아이들(Whiz Kids)"이라는 별명을 얻었던 1950년 필리스 팀과 대조적으로 "숨 가쁜 아이들(Wheeze Kids)"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
경기 전 존 덴버가 미국 국가인 '성조기'를 불렀다.
필라델피아 필리스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조 모건 (2루수) | 알 뱀브리 (중견수) |
피트 로즈 (1루수) | 짐 드와이어 (우익수) |
마이크 슈미트 (3루수) | 칼 립켄 주니어 (유격수) |
식스토 레스카노 (우익수) | 에디 머레이 (1루수) |
개리 매튜스 시니어 (좌익수) | 존 로웬스타인 (좌익수) |
개리 매독스 (중견수) | 리치 다우어 (2루수) |
보 디아스 (포수) | 토드 크루즈 (3루수) |
이반 데 헤수스 (유격수) | 릭 뎀프시 (포수) |
존 데니 (투수) | 스콧 맥그리거 (투수) |
3. 2. 2차전 상세
1983년 10월 12일,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메모리얼 스타디움에서 2차전이 열렸다.[3]필라델피아 필리스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J. 모건 (2루수) | A. 뱀브리 (중견수) |
P. 로즈 (1루수) | D. 포드 (우익수) |
M. 슈미트 (3루수) | C. 립켄 Jr. (유격수) |
J. 라피버 (우익수) | E. 머레이 (1루수) |
G. 매튜스 (좌익수) | J. 로웬스타인 (좌익수) |
G. 그로스 (중견수) | R. 다우어 (2루수) |
B. 디아스 (포수) | T. 크루즈 (3루수) |
I. 데 헤수스 (유격수) | R. 뎀프시 (포수) |
C. 허드슨 (투수) | M. 보디커 (투수) |
2차전에서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4-1로 꺾었다. 5회말 볼티모어의 존 로웬스타인이 동점 솔로 홈런을 쳤고,[3] 7회말에는 칼 립켄 주니어의 적시타로 볼티모어가 3점 차 리드를 가져갔다.[3] 9회초, 마이크 보디커가 마이크 슈미트를 헛스윙 삼진으로 잡아 경기를 종료시키며, 시리즈는 1승 1패 동률이 되었다.[3]
3. 3. 3차전 상세
'''볼티모어 오리올스 선발 라인업'''
'''필라델피아 필리스 선발 라인업'''
3. 4. 4차전 상세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볼티모어 | 0 | 0 | 0 | 2 | 0 | 2 | 1 | 0 | 0 | 5 | 10 | 1 |
필라델피아 | 0 | 0 | 0 | 1 | 2 | 0 | 0 | 0 | 1 | 4 | 10 | 0 |
- 승리 투수: 스톰 데이비스 (1승)
- 패전 투수: 존 데니 (1승 1패)
- 세이브: 티피 마르티네즈 (2세이브)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선발 스톰 데이비스의 호투와 4회와 6회에 각각 2점씩, 7회에 1점을 뽑아내는 집중력을 보이며 필라델피아 필리스에 5-4로 승리했다. 필라델피아는 4회말 1점, 5회말 2점, 9회말 1점을 득점하며 추격했지만,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
3. 5. 5차전 상세
1983년 10월 16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베테랑스 스타디움에서 열린 5차전은 볼티모어 오리올스가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5-0으로 꺾고 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경기이다.경기 결과
팀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최종 득점 | 안타 | 에러 |
---|---|---|---|---|---|---|---|---|---|---|---|---|
볼티모어 | 0 | 1 | 1 | 2 | 1 | 0 | 0 | 0 | 0 | 5 | 5 | 0 |
필라델피아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5 | 1 |
- 승리 투수: 스캇 맥그레거 (1승 1패)
- 패전 투수: 찰스 허드슨 (2패)
- 홈런:
- 볼티모어: 에디 머레이 (2회 1점, 4회 2점), 릭 뎀프세이 (3회 1점)
선발 라인업
볼티모어 오리올스 | 필라델피아 필리스 | ||
---|---|---|---|
포지션 | 선수명 | 포지션 | 선수명 |
중견수 | A. 뱀브리 | 2루수 | J. 모건 |
우익수 | D. 포드 | 우익수 | P. 로즈 |
유격수 | C. 립켄 Jr. | 3루수 | M. 슈미트 |
1루수 | E. 머레이 | 좌익수 | G. 매튜스 |
좌익수 | J. 로웬스타인 | 1루수 | T. 페레즈 |
2루수 | R. 다우어 | 중견수 | G. 매독스 |
3루수 | T. 크루즈 | 포수 | B. 디아스 |
포수 | R. 뎀프시 | 유격수 | I. 데헤수스 |
투수 | S. 맥그레거 | 투수 | C. 허드슨 |
경기 내용볼티모어의 선발 투수 스코트 맥그레거는 9이닝 동안 필라델피아 타선을 5안타 무실점으로 완벽하게 막아내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볼티모어는 2회초 에디 머레이의 솔로 홈런으로 선취점을 올렸고, 3회초 릭 뎀프세이의 솔로 홈런으로 추가점을 얻었다. 4회초에는 에디 머레이가 2점 홈런을 터뜨리며 점수 차를 벌렸고, 5회초 1점을 추가하며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필라델피아 필리스는 찰스 허드슨이 선발 등판하였으나 에디 머레이에게만 2개의 홈런을 허용하는 등 5실점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필라델피아 타선은 스코트 맥그레거에게 꽁꽁 묶이며 이렇다 할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이 경기는 낮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2시간 21분 만에 종료되었다. 관중은 6만 7064명이 입장하였다.
4. 팀별 분석
조 알토벨리 감독이 이끄는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얼 위버 감독의 뒤를 이어 MVP 투표 2위인 1루수 에디 머레이(.306 타율, 33홈런, 111타점)와 MVP를 수상한 유격수 칼 립켄 주니어(.318 타율, 27홈런, 102타점)를 중심으로 강력한 타선을 구축했다.[13] 켄 싱글턴은 지명 타자 역할을 맡았고, 나머지 선수들은 플래툰 선수들로 구성되었다.[13] 오리올스는 팀 홈런(168개)과 OBP(.340)에서 아메리카 리그 1위를 차지했고, 득점, 2루타, 볼넷에서 2위를 기록했다.[13]
1982년에 15승을 거둔 37세의 투수 짐 팔머는 1983년에는 11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5승 4패를 기록했다.[13] 18승을 거둔 스콧 맥그리거 (18–7, 3.18 평균자책점)와 25세의 마이크 보디커 (16–8, 2.77)를 중심으로, 21세의 스톰 데이비스 (13–7, 3.59)와 베테랑 마이크 플래너건 (12–4, 3.30)이 투수진을 지원했다.[13] 티피 마르티네스는 21세이브로 개인 최고 기록을 세웠고, 새미 스튜어트는 불펜에서 9승을 추가하며, 오리올스의 투수진은 완봉승(15개)에서 아메리카 리그 1위를 차지했고, 승리(98승)와 평균자책점(3.63)에서 2위를 기록했다.[13]
오리올스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를 6경기 차로 따돌리고 아메리칸 리그 동부에서 우승했고, 시카고 화이트삭스를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3승 1패로 꺾었다.[13]
필라델피아 필리스는 평균 연령 32세의 베테랑 팀으로, '숨 가쁜 아이들(Wheeze Kids)'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마이크 슈미트가 공격을 이끌었지만, 다른 타자들의 지원은 부족했다. 존 데니(사이 영 상 수상)와 스티브 칼튼이 이끄는 투수진은 강력했지만, 월드 시리즈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1]
4. 1. 볼티모어 오리올스
조 알토벨리 감독이 이끄는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얼 위버 감독의 뒤를 이어 팀을 맡았다. 알토벨리는 MVP 투표에서 2위를 차지한 1루수 에디 머레이(.306 타율, 33 홈런, 111 타점)와 MVP를 수상한 유격수 칼 립켄 주니어(.318 타율, 27 홈런, 102 타점)가 이끄는 강력한 타선을 구축했다.[13] 베테랑 외야수 켄 싱글턴은 지명 타자 역할을 맡았고, 나머지 선수들은 플래툰 선수들로 구성되었다.[13] 오리올스는 팀 홈런(168개)에서 아메리카 리그 1위, OBP(.340)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득점, 2루타, 볼넷에서 2위를 기록했다.[13]1982년에 15승을 거둔 37세의 투수 짐 팔머는 1983년에는 11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5승 4패를 기록했다.[13] 그는 이 월드 시리즈에서 한 경기를 이겼지만 초반 부진으로 1984년 초에 오리올스에서 방출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은퇴했다.[13] 18승을 거둔 스콧 맥그리거 (18–7, 3.18 평균자책점)와 25세의 마이크 보디커 (16–8, 2.77)를 중심으로 한 젊은 투수진은 21세의 스톰 데이비스 (13–7, 3.59)와 베테랑 마이크 플래너건 (12–4, 3.30)이 지원했다.[13] 구원 투수 티피 마르티네스는 21세이브로 개인 최고 기록을 세웠고, 새미 스튜어트는 불펜에서 9승을 추가하면서 오리올스의 투수진은 완봉승(15개)에서 아메리카 리그 1위를 차지했고, 승리(98승)와 평균자책점(3.63)에서 2위를 기록했다.[13]
오리올스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를 6경기 차로 따돌리고 아메리칸 리그 동부에서 우승했다.[13] 그 후 시카고 화이트삭스를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3승 1패로 꺾었다.[13]
4. 2. 필라델피아 필리스
필라델피아 필리스는 평균 연령 32세의 베테랑 팀으로, '숨 가쁜 아이들(Wheeze Kids)'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마이크 슈미트가 공격을 이끌었지만, 다른 타자들의 지원은 부족했다. 존 데니 (사이 영 상 수상)와 스티브 칼튼이 이끄는 투수진은 강력했지만, 월드 시리즈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1]5. 이후
이번 월드 시리즈는 칼 립켄 주니어의 유일한 월드 시리즈 출전으로 기록되었다. 오리올스는 1961년 뉴욕 양키스 이후 처음으로 원정에서 3, 4, 5차전을 모두 승리한 팀이 되었다. 하워드 코셀의 마지막 월드 시리즈 중계였다.[3]
참조
[1]
웹사이트
team history
https://www.baseball[...]
[2]
웹사이트
1983 World Series Game 1 - Philadelphia Phillies vs. Baltimore Orioles
http://www.retroshee[...]
Retrosheet
2009-09-13
[3]
웹사이트
1983 World Series Game 2 - Philadelphia Phillies vs. Baltimore Orioles
http://www.retroshee[...]
Retrosheet
2009-09-13
[4]
웹사이트
1983 World Series Game 3 - Baltimore Orioles vs. Philadelphia Phillies
http://www.retroshee[...]
Retrosheet
2009-09-13
[5]
웹사이트
1983 World Series Game 4 - Baltimore Orioles vs. Philadelphia Phillies
http://www.retroshee[...]
Retrosheet
2009-09-13
[6]
웹사이트
1983 World Series Game 5 - Baltimore Orioles vs. Philadelphia Phillies
http://www.retroshee[...]
Retrosheet
2009-09-13
[7]
뉴스
Phillies Win Series Opener on Homer by Maddox; Phillies 2 Orioles 1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3-10-12
[8]
뉴스
Orioles Even Series At 1–1 on 3-Hitter By Boddick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3-10-13
[9]
뉴스
Orioles Top Phils on Error in 7th and Take 2–1 Lea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3-10-15
[10]
웹사이트
Did you know? World Series Game 1: SF 8, DET 3
http://mlb.mlb.com/n[...]
2012-10-25
[11]
뉴스
Rose: a Bench-Warmer Confronts the Cold Truth -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
[12]
뉴스
Orioles Beat Phillies, 5–4, to Take 3–1 Lead in Ser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3-10-16
[13]
뉴스
Orioles Defeat Phillies, 5–0, and Win Ser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3-10-17
[14]
웹사이트
World Series Gate Receipts and Player Shares
http://www.baseball-[...]
Baseball Almanac
2009-06-14
[15]
웹사이트
World Series Gate Receipts
http://www.baseball-[...]
2019-10-13
[16]
웹사이트
World Series Television Ratings
http://www.baseball-[...]
2019-10-13
[17]
간행물
October 16, 1983: Orioles win World Series behind McGregor's shutout
https://sabr.org/gam[...]
2019-10-13
[18]
뉴스
High-Flying Fans Cheer Orioles in Baltimore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9-10-13
[19]
간행물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Designated Hitter Rule
https://sabr.org/res[...]
2019-1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